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44

0~1세 아이 발달 + 엄마아빠가 반드시 해줘야 할 3가지 0~1세 아이 발달 아이는 생후 1년 동안 수유, 배변 등 기본적인 욕구를 총죽시켜주는 양육자에게 자연스럽게 애착을 갖게 된다. 이 시기에 잘 형성된 양육자와의 애착은 기본적인 신뢰감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자아을 가져 자신감, 자존감을 갖게 만드는 바탕이 된다. 이후 대인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출생 후 돌이 될 때까지의 성장은 평생의 신체적 성장 중 가장 빠른 속도로 나타난다. 키, 몸무게뿐 아니라 뇌와 신경계의 발달도 매우 빠르게 이뤄진다. 이 시기 발달은 이후의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아이는 하루종일 탐색을 한다. 손에 잡히는 모든 것을 입에 넣고 빨아보면서 모양은 어떤지, 맛은 어떤지, 재질은 어떤지 파악한다. 자신만의 방식대로 호기심을 충족하며 새로운 정보를 쌓아간다. .. 2022. 5. 31.
부부동시 육아휴직 제도에 대한 모든 것 육아휴직 급여는 만8세 이하 또는 초등2학년 이하의 자녀를 가진 근로자가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육아휴직을 30일 이상 부여받고 수급요건 충족하는 경우 통상임금의 100분의 80(상한액 월 150만, 하한액 월 70만)을 육아휴직 급여로 받을 수 있는 제도다. 육아휴직 급여액의 100분의 25는 직장 복귀 6개월 후 합산하여 일시불로 지급된다. 즉, 육휴 쓰고 바로 퇴사하면 못 받는다는 것. (6개월 존버 필요;;) 사후지급금은 고용센터에서 육아휴직급여 신청자에 대한 지급요건(6개월 이상 근무) 확인 후 지급된다. 20.2.28일부터 부부 동시 육아휴직 신청이 가능하게 되었다. 육아휴직의 기간은 1년 이내. 자녀 1명 당 1년 사용가능하므로 자녀가 2명이면 2년 사용 가능하다. 한 자녀에 대해 아빠도 1년.. 2022. 5. 20.
임신 근로자를 위한 정책 : 출산전후 휴가에 대한 모든 것 임신한 근로자라면 누구나 출산전후휴가를 통해 임신/출산으로 인해 소모된 체력을 회복시킬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출산전후 휴가 급여 임신 중인 여성에게는 출산전후 90일 (다태아 120일)의 출산전후 휴가가 주어진다. 휴가 기간의 배정은 출산후 45일 (다태어 60일)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출산한 여성 근로자에게는 근로의무를 면제하고 임금상실없이, 유급으로 휴식을 보장받도록 해주는 제도다. 출산이 예정보다 늦어져 출산전휴가가 45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출산 후 45일이 보장되도록 휴가기간을 연장해야 한다. 유산/사산의 경우에는 좀 더 복잡하다. 근로자의 청구에 의해 임신기간에 따라 30일부터 90일까지 유산/사산 휴가를 부여해야 한다. 휴가 기간 중 임금 지급 우선지원 대상기업의 경우 90일의 급여가 고.. 2022. 5. 19.
미숙아? 이른둥이? 어떤 문제가 있을까 분만예정일은 일반적으로 임신주수 40주 시기를 말한다. 분만 예정일보다 3주 이상 일찍 출생한, 임신기간 37주 미만의 경우 '미숙아', 이른둥이'라고 한다. 출생 체중 1.5kg 미만의 아기를 '극소저출생체중아' 1kg 미만의 아기를 '초극소저출생체중아'라고 부른다. 이른둥이는 태내 성장, 발달이 충분하지 않아 생존을 위해 여러 도움을 받아야 한다. NICU 신생아 집중치료실, 일명 니큐 아기가 일찍 태어나거나, 건강 상 문제가 있는 경우 신생아 치료 전문가 팀으로부터 24시간 동안 집중적인 치료를 받게 된다. 건강 상의 문제 이른둥이들이 겪을 수 있는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체온 불안정 : 저체온/고체온 호흡 : 호흡곤란, 공기 누출 증후군, 폐 출혈, 무호흡, 만성 폐 질환 신경 : 두개 내 출혈, .. 2022.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