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할머니 육아 괜찮을까? 대리양육 시 주의사항, 조부모 육아의 장단점

by 아리와 스라 2022. 4. 26.

나는 육아휴직하여 2년 동안 아이를 돌보는 중.

양가 부모님 모두 멀리 사셔서 육아 도움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직접 돌보고 있지만

주변에는 조부모 육아를 하는 친구들이 상당히 많다.

부모가 아닌 사람의 대리양육, 괜찮을까?

오늘은 대리양육 시 주의사항과 조부모 육아의 장단점을 정리해본다.

 

1. 대리양육 시 주의사항

낯가림, 분리불안은 영아기에 정상적인 모습.

그럼에도 이 시기를 잘 보내야 정상적인 정서발달을 할 수 있기에 부모와의 애착관계 형성이 중요하다.

피치못할 사정으로 부모가 아닌 다른 사람이 양육을 대신할 경우 주의사항들이 있다.

 

애착은 반드시 엄마와만 생기는 건 아니다. 아빠, 할머니, 이모. 그 외 어떤 성인이든 애착이 생겨 상호작용이 이뤄지면 된다. 시간을 주로 보내는 성인과 애착이 생기면 된다.

 

분리불안은 모든 아이들에게 나타나지만 대체로 '엄마와 떨어져 본 적이 없던 아이'에게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기아 일찍부터 다른 어른, 아이들과 어울리도록 상황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다른 사람들과 접촉을 아예 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과보호하게 되면 두려움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가능하면 매일 다른 아기들과 같이 있는 기회를 주고, 놀이방/어린이집 등에서 다른 아기들과 같이 있는 습관을 들이면 좋다.

 

주 양육자가 믿을 수 있고 친숙한 사람임을 아이에게 점차적으로 인지시켜줘야 한다. 

엄마에서 다른 사람으로 주 양육자가 바뀔 경우, 처음에는 엄마와 같이 있어주면서 대리양육자와 친해질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장소가 바뀔 경우에도 그곳에 머무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늘려주는 것이 좋다.

 

아이가 어느정도 대리양육자에게 적용하고 있다면 부모가 출근할 때마다 아이에게 알리고 마음의 준비를 미리 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저녁에는 다시 만날 수 있다고 말해주면서 아이를 안심시켜주자. 

부모가 죄책감, 불안감을 가지면 아무리 숨기려 해도 아이에게 전달이 된다.

 

다만 아기의 성장,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아기와 떨어지는 것에 대해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2. 조부모 육아의 장단점

조부모가 아이를 돌보게 되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나역시 할머니가 주양육자였기에 큰 장점을 느끼면서 살아왔다.

사바사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이렇다.

 

조부모는 항상 너그럽고 상냥하게 아이들을 감싸주는 경향이 있다. 부모보다 좀 더 허용적인 편이다.

연륜에서 오는 여유, 삶의 지혜를 아이들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고

노인을 공경하는 자세를 자연스럽게 갖게 된다.

노인이 있는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은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친밀감을 갖게 되고

노인을 위하는 마음을 본받아 예의 바른 아이로 성장할 수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조부모가 아이에게 지나치게 허용적으로 대할 수 있어 지나치게 응석 부리는 아이로 성장할 수도 있다.

조부모는 무엇이든 손자의 요구대로 해주지 말고, 양육 방침을 정해 되고 안 되는 것을 명확히 구분해 줘야 한다.

 

놀이터에서 할머니와 나온 아이들을 보면 대부분 '위험해', '조심해', '내려와' 이런 말들이 많이 들린다.

아이가 나름의 모험을 하려고 하면 할머니 눈에는 마냥 위험해보여서 과보호하는 경향이 있다.

(할아버지들은 지나치게 용감하게 키우기도 ㅎㅎㅎㅎ 사바사!)

아이가 할 수 있는 것까지도 제한하고 도와주려고 하면 의타심이 강해지고, 무엇이든 혼자서는 하지 않으려 할 수 있다.

혼자 해낼 때의 기쁨을 아이에게 가르쳐 주고

잘 해내면 칭찬해주어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조부모와 이야기 나눠야 한다.

 

가장 큰 단점은 부모와 육아 방식의 차이가 있다는 것.

부모와 조부모의 양육 방침에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함께 의논해 양육 원칙을 세우고 그에 맞춰 일관성 있는 육아를 해야 한다.

조부모의 육아 경험이 좋을 때도 있지만, 현 시대에 맞는 사고방식이 필요하므로

충분히 사전에 상의한 후 조부모 육아에 임해야 한다.

조부모가 강력히 주장할 경우에는 의사, 육아책 등 외부의 권위를 빌려 말하는 것

조부모의 자존심에 상처 입히지 않는 방법일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