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육아포인트,
질문을 많이 해라!
하지만 무턱대고 질문을 해대면 오히려 아이의 자존감에 스크래치가 날 확률만 높아진다.
오늘은 아이에게 질문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을 정리해봤다.
1. 열린 질문
기본 중에 기본.
답이 정해진 폐쇄형 질문이 아닌, 여러 답이 나올 수 있는 개방형 질문을 해야 한다.
예 아니오, A 아님 B 선택해서 대답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여러 옵션을 두고 충분히 고민하도 대답을 할 수 있게 해주면
아이들의 생각 폭이 훨씬 넓어질 수 있다.
오늘 어떤 놀이가 가장 재밌었어?
오늘 가장 기억에 남은 게 어떤 거야?
오늘 가장 행복한 일이 뭐였어?
2. 긍정적 질문
부정적인 질문은 부정적인 답을 낳는다.
부정적인 대화는 떼 쓰는 아이를 만드는 지름길일 수도..
같은 내용이라도 긍정적인 질문을 하면, 긍정적인 답변이 돌아올 확률이 높다.
숙제 왜 안했어? X
숙제를 몇 시까지 할 수 있을까?
숙제 다 끝나고 나면 뭐하고 놀까?
3. 중립형 질문
답이 정해져있고, 그 답을 유도하는 질문을 하지 말자.
어차피 답이 정해져있다면 물을 필요가 없다.
내가 원한 답을 하지 않으면, 그대로 이뤄줄 건가?
이뤄줄 거 아니면 차라리 그냥 지시를 하자.
모든 상황에서 질문이 더 좋은 건 아니다.
적절한 말을 해주는 것이 좋은 것.
TV 계속 볼거야?
-> 응 이라고 해도 계속 보여줄 생각이 없다면
TV 볼 시간이 다 되었네. TV 끄고 나서 뭐 할까?
-> TV 끄는 건 이미 기정 사실. 그 이후에 뭐할지 물으면 자연스럽게 화제전환 가능
좋은 점과 싫은 점 하나씩 말해볼까?
4. 창의적인 질문
상상력을 한층 높여주는 질문들을 하자.
그림책을 보면서 이야기를 지어내거나, 다음 이야기를 유추해보도록 한다.
이 이야기 다음에는 어떻게 될지 한 번 말해볼래?
XX가 XX하면 어떻게 될까? 그림으로 그려볼까?
무언가를 선택했다면 그 이유를 묻고 한 단계 더 생각할 기회를 준다.
왜 이 장난감을 선택했어? 어떤 점이 마음에 들었어?
이 책에서 어떤 장면이 가장 재밌었어?
더불어 여러 관점에서 고민해 볼 수 있는 질문을 한다.
우리집에 가장 어울리는 장난감은 뭘까? 원래 있던 장난감과 같이 놀기 좋은 장난감은 어떤 걸까?
강아지를 키운다면 어떤 점이 좋을까? 어떤 점이 나쁠까?
5. 현재/미래 지향적 질문
과거에 집착하는 질문보다는
현재에 집중하거나, 미래 지향적인 질문을 하자.
과거에 대해 물으면 핑계밖에 나올 수 없다.
아이가 핑계를 대면 우리는 또 화를 내게 된다.
어린이집 늦겠네. 지금까지 뭘 한거야? X
왜 아직도 옷 안 입었어? X
어린이집 갈 준비를 해야 하는데, 어떤 걸 먼저 할 수 있을까?
우리가 빨리 어린이집 가려면 뭐부터 해야 할까?
아이에게 질문을 많이 해야 하는 이유는
아이의 사고력을 넓히고 창의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좋은 질문을 하려면 결국
아이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어떤 것을 말하고 싶어하는지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수반된다.
좋은 질문을 하면 아이는 부모가 자신의 마음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므로
적절한 애착관계 형성도 가능하다.
좋은 질문은 불필요한 말다툼을 줄이고
긍정적인 대화를 이어갈 수 있게 도와주니
적절한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평소에 연습을 많이 하도록 하자. :)
'육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기 대통령 출산, 아동, 육아 관련 공약 톺아보기 (0) | 2022.04.02 |
---|---|
18개월 영유아 발달 체크리스트 + 이걸 못한다면 전문가 상담 필수 (0) | 2022.03.28 |
16개월 아기 발달 사항 총정리 (0) | 2022.03.27 |
14개월 아기는 이런 걸 할 수 있어요! (0) | 2022.03.24 |
12개월 돌 전후 발달 사항 체크하기 (0) | 2022.03.23 |
댓글